(사진-46) 임금의 대례복, 면복
●임금의 의상(衣裳)
조선의 임금은 국조오례의의 의식절차에 맞추어 규정된 의상을 착용하였는데, 임금의 의상은 전담 관청인 상의원(尙衣院)에서 노련한 의장 상궁들이 다섯 의례인 길례(吉禮), 가례(嘉禮), 빈례(賓禮), 군례(軍禮), 흉례(凶禮)에 대비하여 미리미리 준비하게 되는데, 계절과 체형의 변화에 따라 최상급으로 의복을 제작하였다.
★면복(冕服)
①하늘과 조상에 대한 제례 등 임금이 가장 정중한 예식과 국가적 행사를 치를 때 입는 대례복을 말하며, 면류관(冕旒冠-9가지 류)과 구장복(九章服-9가지 무늬)을 착용한다.
②면류관은 모자의 기본 틀이라고 할 수 있는 면판(冕版)과 면판에 늘어뜨린 류(旒-일종의 구술)를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③면류는 9개의 류로서 앞 뒤 합하여 18개의 류이며 각각의 류마다 붉은색, 흰색, 하늘색, 황색, 흑색의 5채 옥(玉)을 차례로 꿰어 늘어트린다.
④귀 부분의 류에는 솜 뭉치를 달았고, 앞의 류는 눈을 가리도록 늘어트려 간신배의 감언이설에 상징적으로 눈과 귀를 막는 형태를 취했다.
⑤구장복은 상의에 다섯 가지 문양이 들어가고 하의에 네 가지 문양이 들어가는데, 총 아홉 가지의 문양이 들어갔다 하여 구장복이라 부른다.
⑥상의에 들어가는 다섯 가지 문양은 용, 산, 꿩, 불꽃무늬, 호랑이와 원숭이 등이고, 하의에는 수초, 쌀, 도끼, 활 모양의 네 가지 문양이 들어간다.
★상복(常服)
임금이 평상시 착용하는 복장, 붉은 곤룡포(중국 황제는 황색)에 익선관을 썼고,
★조복(朝服)
각종 정식, 임시 조회와 비정규 행사 등 임금이 신하의 조현을 받을 때에는 강사포에 원유관을 썼다.
★융복(戎服)
왕이 능에 갈 때나 거동을 할 때, 국난을 당했을 때 입는 옷이다.
★군복(軍服)
왕이 전시나 국난 중에 입는 옷이다.
'궁궐의 아침, 광화문이 열리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중음식 조리인과 숙설소(熟設所) (0) | 2019.12.28 |
---|---|
궁궐 연향(宴饗)과 음식조리 (0) | 2019.12.16 |
중국사신 공식 환영연–하마연(下馬宴) (0) | 2019.11.27 |
국빈 접대, 중국사신(使臣) 영접행사 (0) | 2019.11.18 |
우주를 담고 있는 단청(丹靑)의 의미 (0) | 2019.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