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눈물의 단종(端宗) 어수정(御水井) 불과 12세의 어린 몸으로 왕위를 계승하여 제위 3년 만에 숙부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왕위를 찬탈당하고 그것도 부족하여 끝내는 죽임을 당해야 했던 단종(端宗)! 금지옥엽 지존의 몸인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강원도 영월로 가는 유배길에 하늘에 사무치는 한과 단장의 슬픔을 안.. 문화유산 탐방 2019.09.10
순천 송광사 천자암 쌍향수(雙香樹) 전라남도 순천의 조계산에는 송광사와 선암사가 있고, 부속 암자도 여럿 있다. 그중 천자암은 송광사 부속 암자다. 송광사 천지암의 곱향나무 쌍향수는 나이가 약 8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12.0m, 가슴높이 둘레 4.10m, 3.30m이다. 두 그루가 쌍으로 나란히 서 있고 줄기가 몹시 꼬인 신기한.. 문화유산 탐방 2019.09.05
경기도 이천의 반룡송(蟠龍松) 경기도 이천의 반룡송(蟠龍松) 경기도 이천의 반룡송(蟠龍松), 천연기념물 제381호. 반룡(蟠龍)은 하늘에 오르기 전 땅에 서리어 있는 용이라는 뜻. 수령은 500년 정도, 나무 높이는 4.25m, 가슴 높이 줄기둘레는 1.83m. 지상 2m 정도에서 사방으로 넓게 갈라지는 가지의 모양이, 마치 용틀임 하.. 문화유산 탐방 2019.08.28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국보 제83호,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국보 제78호)과 함께 국내에서는 가장 큰 금동반가사유상으로 높이가 93.5㎝이다. 머리에 3면이 둥근 산 모양의 관(冠)을 쓰고 있어서 ‘삼산반.. 문화유산 탐방 2019.08.23
지리산 백장암(百丈庵) 삼층석탑(三層石塔) 지리산 백장암(百丈庵) 삼층석탑(三層石塔) 전라북도 남원(南原)에서 경상남도 함양(咸陽)으로 넘어가는 지리산 중턱 실상사(實相寺). 본사인 실상사에서 4㎞쯤 떨어진 백장암(百丈庵)에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石塔), 국보 제10호인 삼층석탑(三層石塔)이 아름다운 자태를 세상을 향해 드.. 문화유산 탐방 2019.08.13
하동(河東) 샘골(井戶) 막사발 이도다완(井戶茶碗), 일본(日本)의 국보(國寶) 제26호로 지정되어 있다. 하동(河東) 샘골(井戶) 막사발 다완(茶碗)은 차를 마실 때 사용하는 잔(盞) 또는 사발을 말하는데, 다도(茶道)가 유행했던 일본 귀족층에서 사용되는 다완(茶碗)은 중국에서 전래된 것, 조선에서 전래된 것, 일본에서 .. 문화유산 탐방 2019.08.09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국보 제12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국보 제12호)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화엄사 경내 각황전 앞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 이 석등은 국내 현존하는 석등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이며 세부의 조각 수법도 정교하여 신라 석등의 백미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호남지역에 널리 유행한 고복.. 문화유산 탐방 2019.08.06
여주 고달사지 승탑(高達寺址 僧塔-국보 제4호) 여주 고달사지 승탑(高達寺址 僧塔-국보 제4호) 여주 고달사지 승탑(驪州 高達寺址 僧塔)은 대한민국 국보 제4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이다. 고달사는 신라 경덕왕(景德王) 23년(764)에 창건되어 고려 광종(光宗) 이후 한 때 전성기를 누린 적도 있었지만 지금은 폐사된 터에 몇.. 문화유산 탐방 2019.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