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디자이너 메리 퀀트의 미니스커트와 핫팬츠>
●제2차 산업혁명(産業革命)
가) 제2차 산업혁명시기인 1870~1914년에는 독일, 미국과 같은 일부 후발국들이 선발국인 영국을 제치고 선두에 나섰다. 19세기 말 미국과 독일에서는 새로운 강철 제조 기술, 근대적 화학 기술, 자동차, 전기 산업 등 새로운 기술과 산업이 발전했다. 미국에서는 토머스 에디슨, 니콜라 테슬라와 조지 웨스팅하우스가 이끄는 전기의 이용 및 프레드릭 테일러에 의해 추천된 과학적 관리법은 세계에 선행하는 것이었다.
나) 제2차 산업혁명이 1세기 전 영국의 산업혁명과 달랐던 것은, 영국의 숙련공들이 주로 작업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기술을 습득했던 것과는 달리 독일과 미국에는 체계적인 과학 기술 교육을 통해 훈련된 기술자, 숙련공들이 존재했다. 이들이 근대 과학 지식을 응용해서 새로운 생산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제2차 산업혁명을 이룩한 것이다.
다) 이 시대에는 화학, 전기, 석유 및 철강 분야에서 기술 혁신이 진행되었다. 소비재를 대량 생산 하는 구조적 측면의 발전도 있었고, 식료품 및 음료, 의류 등의 제조 기계와 더불어 가공, 운송 수단의 혁신, 심지어 오락 분야에서도 영화, 라디오와 축음기가 개발되어 대중의 요구에 부응했다.
●제3차 산업혁명(産業革命)
가) 2차 산업혁명 이후 인류는 급격한 공업의 발달과 함께 풍요로운 삶을 살게 되었다. 그러나 1, 2차 산업혁명이 지난 지금 우리는 새로운 모색을 해야만 하는 시점에 도달하게 되었다. 1, 2차 산업혁명의 바탕이 된 화석연료(석탄, 석유, 천연가스)가 한계에 다다르는 에너지 위기 상황이 도래했고,
또 화석연료로 인한 기후변화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기 때문에, 탄소 후 시대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나) 3차 산업혁명은 인터넷 기술과 재생 에너지가 융합하여 가져올 협업시대를 의미한다. 3차 산업혁명의 핵심요소는 재생 에너지의 생성-전환-저장-교환과 관련한 기술과 인프라이다.
다) 3차 산업혁명의 다섯 가지 핵심 요소는,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것, 모든 대륙의 건물을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미니 발전소’로 바꿀 것, 수소에너지 기술 등을 활용해 에너지를 보존·저장할 것, 인터넷 기술처럼 에너지를 공유할 것, 이런 에너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교통수단을 만들 것 등이다.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지능화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평적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라) 소셜 미디어, 3D 프린터, 소유에서 공유로의 사회 요구 변화(공유경제) 등은 3차 산업혁명과 일맥상통하는 협업시대로의 징후이다. 3차 산업혁명을 통해 얻게 될 에너지의 민주화는 근본적으로 사회체계를 재정립해 비즈니스-정치-교육-사회참여 등 우리 삶 전반에 영향을 끼칠 것이다.
<헤어디자이너 비달 사순(Vidal Sassoon)은 쇼트커트인 보브 컷(Bob cut)을 선보였다>
●1963년 청년혁명(靑年革命)
가) 자유롭고 적극적이며 창의적인 삶은 젊은이의 상징이다. 1963년부터 벌어진 청년혁명은 삶의 방식, 가치관, 태도를 송두리째 바꿔놓은 거대하고도 도도한 흐름이었다. 1963년은 격동적인 청년혁명의 시대였다.
나) 음악으로 시대의 우상이 된 비틀스(The Beatles–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악가, 영국의 록 밴드)와 밥 딜런(Bob Dylan–저항음악의 시조,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시인, 화가)이 데뷔했다. 정규 음악교육을 받지 않았음에도 음악역사를 새롭게 썼다.
다) 패션 디자이너 메리 퀀트(Mary Quant, 영국 대표 디자이너)는 런던에서 미니스커트와 핫팬츠를 처음 선보였다. 젊은이들은 거리를 활보하며 자신의 매력을 뽐냈다. 기성세대는 경악했지만 젊은 여인들은 도발적인 자기 주장으로 시대의 변혁을 이끌었다.
라) 헤어디자이너 비달 사순(Vidal Sassoon, 영국의 헤어 드레서)은 쇼트커트인 보브 컷(Bob cut)을 내놨다. 수천 년간 긴 머리가 여성성(女性性)을 나타낸다고 믿었던 서구 여성들은 짧은 머리로도 충분히 섹시해 보일 수 있다는 사실에 열광했다.
마) 패션과 헤어스타일에서 벽을 뛰어넘는 환희를 맛본 젊은이들은 본격적으로 해방의 시대를 노래했다. 이들은 인습을 거부했다. 부모가 요구하는 방식이 아닌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기 시작했다. 여성도 결혼 전에 부모로부터 독립할 수 있는 첫 세대가 됐다.
바) 피임약은 성(性) 혁명을 이끌었으며 여성이 성적(性的)으로 능동적인 시대를 열었다. 청년혁명은 젊은이가 살아야 세상이 생기를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인류의 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능형 사이버 물리시스템(CPS-cyber physical system) (0) | 2019.11.29 |
---|---|
생명공학(BI-biotechnology) (0) | 2019.11.22 |
산업혁명(産業革命)의 태동 (0) | 2019.10.29 |
새로운 지식, 과학의 힘 (0) | 2019.10.22 |
인류문명의 비약 (0) | 2019.10.15 |